이창우,
더 스튜디오
크리에이티브
아카이빙


더 스튜디오
이창우 Lee, Changwoo
Contact


현재
  • The Studio 대표
  • 언폴드앤아키대미 대표교수
  • 미술사 크랙 채널 디렉터

역임
  •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교(HILLS) 교수
  • 계원조형예술대학 교수
  • 한국시각정보디자인협회 (VIDAK) 부회장
  • 고양문화재단 예술감독
  • 대한민국우표발행 심의위원
  • 한국디지털영상학회 (KDVIA) 이사
  • 동아엘지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 운영위원
  • 주)엘지애드 CR국 크리에이터

Exhibition
  • BIM전(조선일보미술관), 노마콩쿠르,이동일러스트레이션원화전(동경)
  • 이창우 정관태 일러스트레이션전(수화랑), 브라티슬라바 일러스트레이션 비엔날레(체코)
  • 오사카디자인콤페티션(오사카), 한국그림동화원화전(프랑스문화원)
  • 이창우 정순섭 일러스트레이션전(갤러리고도), 캐릭터 일러스트레이션전
  • 제 1 회 이창우 일러스트레이션 개인전(갤러리 무예), 한국그래픽디자이너전(이스탄불)
  • 제 2회 이창우 일러스트레이션 개인전 (평화화랑), 2007 한.중.일 일러스트레이션
  • 포스터 초대전(일본 다마미술대학), 2008 뉴욕 가나갤러리 한국일러스트레이터 초대전 (뉴욕)
  • 2005_15 여성성전 기획, 2001_2017 Hills전 기획전시: 상상전, 멘토전,
  • 2017 이창우초대전: 노량 2015 신화와 전설전(아람미술관),
  • 2019—20 이창우초대전:레몬이야기전(갤러리 아트세빈)

Creative Direction & illustration
  • 아이덴티티디자인, 그래픽디자인, 에디토리얼디자인, 북디자인, 일러스트레이션, 공간디자인, 영상디자인, 설치디자인

Writings
  • 2000 아트북웍스(투트리스)
  • 2006 제오르지오 이야기(가톨릭출판사)
  • 2008 그림으로 말하라 (홍디자인/공저)


Preview

김광석 다시부르기1 아트디렉션1993
‘김광석 20주기’ 를 맞아 그 어느 해 보다 그를 추모하는 열기가 뜨겁다. 대중문화계는 공연, 뮤지컬, 전시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서른셋 짧은 나이로 세상을 떠난 그의 삶을 재조명하고 있다.

이에 김광석 다시 부르기 Ⅰ&Ⅱ LP 헌정판 ‘아트 콜렉터스 에디션’의 두 번째 시리즈 ‘김광석 X 이창우 LP판’ 이 새롭게 출시됐다. 이 음반은 ‘김광석을 보다 展’의 일환으로 기획됐으며, 최고의 음질과 퀄리티를 위해 첫 번째 시리즈와 다른 독일 공장에서 제작됐다.

이번 음반의 아트 콜렉터 이창우 교수는 오리지널 김광석 다시 부르기 1집에서 김광석의 캐리커처를 만들어 낸 장본인이다. 주름진 얼굴로 파안대소 하고 있는 김광석의 캐리커처는 이제 그를 대표하는 이미지가 됐다.

김광석의 친구이자 소극장 학전에서 아트디렉터를 담당해 온 이 교수는 지난 1988년부터 수많은 음악인 및 연극인과의 교류를 통해 당시 대학로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진보적 대중문화의 확장과 발전을 이끌어 왔다. 그는 김광석 다시부르기 I, 김광석 4집 등의 음반 작업과 다수의 공연에 아트디렉터로 참여, 일러스트레이션과 디자인을 담당했다. 또한 노찾사, 록 뮤지컬 지하철 1호선, 록 오페라 모스키토 등 음악, 뮤지컬, 연극을 넘나들며 활약해 왔다. 현재는 계원조형예술대학을 거쳐 힐스(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교)에서 후진양성에 힘쓰고 있다.

김광석 다시부르기 I 트랙에는 ‘이등병의 편지’ ‘사랑이라는 이유로’ ‘사랑했지만’ ‘거리에서’ ‘기다려줘’ ‘흐린 가을 하늘에 편지를 써’ 등이, 김광석 다시부르기 II 트랙에는 ‘그녀가 처음 울던 날’ ‘잊혀지는 것’ ‘어느 60대 노부부 이야기’ ‘변해가네’ ‘나의 노래’ ‘너무 아픈 사랑은 사랑이 아니었음을’ 등이 수록돼 있다.

김광석 다시부르기 Ⅰ&Ⅱ LP 헌정판 ‘김광석 X 이창우 LP판’은 23일부터 CJ E&M을 통해 예약 판매중이다. 25일 이후에는 대형 음반매장 및 온라인 음반사이트를 통해서도 구매할 수 있으며, 판매 수익금 일부는 신인 창작자들을 위한 지원금으로 사용된다.

동아일보 최용석 기자 기사 발췌






Preview
©The Studio, 더 스튜디오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이창우